반응형 전기안전관리63 전기안전관리_021_비상발전기운영 - 단독 및 병렬 운전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비상 발전기 운전 전 안전사항 (1) 축전지의 충전상태, 외형 등을 확인 (2) 엔진 오일의 양 확인 (3) 라디에이터 수위 확인 (4) 각 부위의 누유 및 누수 흔적 확인 (5) 연료 탱크의 연료량 확인 (6) 팬벨트 장력 확인 (7) 발전기실 물 고임, 침수 확인 및 환기 장치 확인 (8) 부품의 제조사별 권장 교환 주기 확인 2. 비상 발전기의 단독 운전 비상 발전기는 설치 조건 및 제조사별로 메뉴얼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메뉴얼을 숙지하고 운전하여야 하며 시동을 위한 조건이 갖추어 졌는지 확인한 후 운전한다. 1) 비상 발전기 시동을 위한 조건을 확인한다. 비상발전기는 기동 전에 오일, 연료 냉각수 등을 점검하여 기동 중에 과열 등에 따른 사.. 2023. 5. 2. 전기안전관리_020_비상발전기운영 - 운용 직원 훈련 계획 수립 및 보고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정전의 범위에 따른 행동 절차 1) 일시 정전 (1) 짧은 시간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다가 수초 이내에 전력 공급이 정상화 되는 경우 (2) 주로 하절기 전력 계통의 낙뢰, 계통 파급 사고에 의한 전압 강하 등이 원인이다. (3) 행동 절차 - 비상 연락망 가동 - 구내방송 실시 - 주요 설비 가동 상태 확인 - 전기 관련 근무자 비상 대기 - 각종 피해 상황 접수 및 상황보고 2) 부분 정전 건물 내 일부 지역만 정전되는 경우로서 비상 발전기는 가동시키지 아니한다. (1) 행동절차 - 비상 연락망 가동 및 구내방송 실시 - 정전 원인 파악 및 원인 제거 - 주요 설비 응급 전원 공급 - 인명 안전 유지 - 출입 통제 및 대피 경로 유도 - 피해 현.. 2023. 4. 28. 전기안전관리_019_비상발전기운영 - 비상발전 전원 투입 순서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자가 발전 설비의 분류 비상 발전기는 상용 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 원동기에 의해 발전기가 구동하여 소방용 부하 설비 또는 비상용 부하 설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다음 표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구분 분류형태 비고 용도 소방 부하 겸용 발전기 소방 및 비상 겸용으로서, 소방 부하 및 비상 부하의 합산 부하 용량 기준으로 정격 출력 용량을 산정한 비상 발전기 소방 전원 보존형 발전기 소방 및 비상 겸용으로서 소방 부하 기준으로 정격 출력 용량을 산정하여 적용하는 비상 발전기 소방 전용 발전기 소방 부하를 적용한 소방 전용의 발전기 비상 전용 발전기 비상 부하를 적용한 비상 전용의 발전기 (1) 소방 부하 겸용 발전기 (합산 용량 발전기) 발.. 2023. 4. 28. 전기안전관리_018_수배전설비 - 정전 복전 절차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개요 정전의 종류에는 크게 사고 정전과 계획 정전으로 나눌 수 있다. 사고 정전의 경우 정전 절차 없이 긴급 차단이 이루어지나, 계획정전의 경우 정전 절차에 따라 안전하게 실시하여야 하며, 복전의 경우 복전절차에 따라 안전하게 실시하여야 한다. 2. 계획 정전 절차 1) 순서 (1) 정전계획 (2) 공고 및 안내 (3) 동력 정지 (4) 전기실 통제선 설치 (5) 저압 정전 (6) 고압 정전 (7) 방전 및 확인 (8) 정전 완료 2) 정전 절차 구성 (1) 정전계획 - 정전 목적에 따라 정전 범위, 시간 계획 - 관계부서와 협의하여 정전 일자 계획 - 정전 목적에 따른 부속기구 확인 - 예비전원설비 점검 (2) 공고 및 안내 - 사내 공지문 등을.. 2023. 4. 26. 이전 1 ··· 4 5 6 7 8 9 10 ···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