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안전관리63

콘덴서 설치용량 기준표 정리 [한전 기본공급약관 시행세칙 별표6]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 1. 단상 유도전동기출력설치용량 [㎌]kWHP110 V220 V0.11/840100.21/450150.251/375200.41/2100200.553/4100300.75112030 2. 200 V 교류 전호(電弧) 용접기최대입력 [kVA]설치용량 [㎌]최대입력 [kVA]설치용량 [㎌]3100257005150309007.5250351000103004011001545045130020600501450 3. 200 V · 300 V 삼상 유도전동기출력설치용량 [㎌] 출력설치용량 [㎌] kWHP200 V380 VkWHP200 V380 V0.21/415-7.510200750.41/220-11153001000.75130-15204001001.52501022305001502.2375.. 2025. 8. 12.
전기안전관리자를 위한 초보 가이드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전기안전관리 : 전기사고 대응대책현대의 산업 현장과 생활 환경에서는 수많은 전기설비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이로 인한 사고는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막고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바로 전기안전관리자입니다. 그들은 단순한 관리자 이상의 역할을 하며, 조직의 안전과 지속가능한 운영을 뒷받침하는 핵심 인력이기도 합니다.전기안전관리자의 핵심 역할전기안전관리자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뉘며, 각각 실무적인 책임이 요구됩니다.1. 전기설비 안전관리전기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체계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이는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점검 계획 수립: 연도별로 점검 및 .. 2025. 7. 13.
2024년 1월 1일 부터 적용되는 비상용 예비발전설비 용량 산정, 점검 및 검사 기준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 비상용 예비발전설비 용량의 산정, 점검 및 검사 기준 비상용 예비 발전설비는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소방부하, 비상부하 및 그 밖의 정전시 운전이 필요한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는 예비전원설비로써 「국토교통부 예비전원설비 설계기준 (KDS 31 60 20 : 2021) 」을 준용하였고, 소방전원보존형 제어장치 설치 여부와 관계없이 정전 시 필요부하 수용률을 부하특성에 따른 설계값으로 적용하도록 KESC 220.3.2 비상용 예비발전기의 용량산정을 명확히 규정하였으며, 다음을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①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에 연결되어 동시에 운전될 수 있는 모든 부하의 합계* 용량을 기준으로 선정할 것 *화재 시 부하 (소방부하) + 정전 시 부하 (필요부하) + .. 2024. 3. 20.
초보 전기안전관리자를 위한 수용가 사고별 대응 방법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 1. 단순사고 1) MOF 소손 판단 : 퓨즈 상태를 육안 또는 검사 후 사고 전류 해석으로 판단 응급조치 : MOF제거 후 1차측 K, L 연결. 한전과 협의 2) CT 소손 판단 : 대부분 몰드타입이므로 육안으로 확인 응급조치 : CT 제거 후 1차측 K, L 연결판단 : 3) VT 소손 판단 : 퓨즈 상태를 육안 또는 검사 후 사고 전류 해석으로 판단 응급조치 : VT용 PF개방, POR 및 UVR동작 정지, 비상발전기 수동 운전 4) LA, SA 소손 판단 : 육안으로 확인 응급조치 : 제거 2. 중대사고 1) 단락사고 판단 : 육안으로 확인 (탄화, 용융, 차단기 동작, 퓨즈 동작) 조치 : 소손된 기기 제거 및 교체, 오염부분 청소, 검사 2) 고압케이블 소손.. 2024.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