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안전관리63 한전 계량기 관련 수용가 고충 처리 수용가 중 원룸 혹은 빌라에서 가장 많이 연락오는 경우의 대부분이 계량기에 전류제한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입니다. 증상으로는 차단기는 떨어지지 않지만 전기제품을 어느 정도 쓰다보면 정전이 된다고 합니다. 예전에 주로 사용하던 기계식 계량기의 경우 대부분 전류제한기가 실물로 부착되는 형태이다 보니 육안으로 금방 구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자식 계량기의 경우 아래와 같이 LOAD O 또는 LOAD X 로 표시되어 관리인분들이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출동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자식 계량기의 경우 전류제한 설정이 가능하다보니 별도의 설치되는 기기 없이 LOAD x 라고 표시 되어 있는 경우 전류제한 기능을 걸어 놨다고 보시면 됩니다. 관리인 혹은 임차인들이 출동 요청 할 경우 위와 같이 계량기함 부터.. 2022. 12. 26. 초보 전기안전관리자를 위한 VCB점검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VCB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유지 관리하기 위한 기본사항과 주의 깊게 점검해야 하는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VCB는 수변전계통을 구성하는 중요설비 중 하나로서 주로 (특)고압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정전작업시 전로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고 있으며, VCB를 최상의 기능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작사 또는 전문기관으로부터 정기적인 점검을 받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1. VCB의 고장원인 VCB의 고장현황을 부위별로 살펴보면 과반수가 조작기구부와 제어부에서 발생되고 있습니다. 조작기구부의 고장은 주로 구리스를 발라주지 않거나 말라 버려서 발생하며, 이로 인한 작동 장애로 조작기구부의 마모를 촉진 시키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제.. 2022. 12. 23. 전기안전관리자 선임(겸직, 공동선임) 및 면제 대상 1. 전기안전관리자 선임대상 구분 전기설비종류 선임대상전기설비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모든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선임대상은 20kW초과 발전설비) 자가용 전기설비 1. 전기수용설비 저압 75kW이상 2. 제조업 및 제조관련서비스업 또는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전기설비 저압에 해당하는 전기수용설비 용량 제한 없이 선임대상제외 3. 발전설비 저압 20kW초과 4. 자가용전기설비 설치장소와 동일한 수전장소에 설치하는 전기설비 5. 위험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kW이상 전기설비 - 총포, 도검, 화약류 등 단속법에 따른 화약류 제조 사업장 - 광산보안법에 따른 갑종탄광 - 도시가스사업법에 의한 도시가스 사업장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의 저장, 충전 및 판매사업장 - .. 2022. 12. 8. 이전 1 ···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