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안전관리63 수동형 고조파 필터의 적용, 효과, 설계 출처 :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카달로그 1. 고조파 필터 적용 전력계통에서의 고조파 왜곡은 주로 정류기, 전력 제어 장비, 아크로, 용접기, 회전기 등과 같은 비선형 부하에 의해 발생하며, 과도하게 발생되는 고조파는 다른 장비 및 계통에 손상을 입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조파 발생 부하는 고조파 전류원으로 여기며, 이러한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고조파 왜곡을 제한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은 고조파 발생 부하 근처에 병렬로 수동형 고조파 필터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부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전류는 필터 측으로 흡수되어 계통으로 유입되는 고조파 전류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2. 고조파 장해란? 전압 또는 전류는 고조파에 의해 파형의 왜곡이 발생하며, 또한 왜곡된 파형은 계통에 아래와 같은.. 2023. 3. 2. 직렬리액터, 방전코일 점검 및 확인 사항 1. 직렬리액터 대다수의 송/변전 및 배전선로의 부하는 유도성 부하이며, 이러한 유도성 성분은 계통의 역률을 지상으로 만드는 무효전력을 발생시킵니다. 지상 무효전력은 전압강하, 계통 손실 증대, 전류 증가 등을 유발시키며, 역률이 감소하면 할 수록 계통의 전력품질은 더욱 더 악화되게 됩니다. 이러한 전력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전력용 콘덴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계통에 콘덴서를 사용하는 경우 콘덴서 개폐 시의 돌입전류, 고조파 확대, 경부하 시의 과전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직렬리액터의 사용은 콘덴서 설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손쉬운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직렬리액터를 설치하면 아래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전압/전류 파형의 왜곡 .. 2023. 2. 28. 전력용 콘덴서의 점검 방법, 주요 고장과 원인, 콘덴서 뱅크 초기점검 출처: 삼화콘덴서공업(주) 카달로그 1. 콘덴서 사고 방지를 위한 점검 방법 포인트 점검내용 조치 누유 및 오손 점검 애자 부분에 누유는 없는가? 누유가 있는 것은 교환한다. (장기간 방치시 절연 파괴로 진전됨) 외함 용접부에 누유는 없는가? 누유가 있는 것은 교환한다. (Oil이 스며 나온 곳은 청소하고 수일 후 다시 점검 한다.) 외함에 오손, 녹슬음은 없는가? 오손 및 녹은 청소 후 방청처리를 한다. 외함의 부풀음 점검 외함의 측면에 부풀음은 없는가? 표준 팽창도를 넘는 것은 교환한다 온도상승 접속불량 점검 단자부의 접속불량으로 인한 과열은 없는가? 단자를 조여준다. (진동이 있는 장소는 피한다) 주위온도 35℃에 있어서 외함의 온도 상승 한도는 30 deg 이하 (고압일 경우) 측정은 봉상 온도계.. 2023. 2. 24. 유입변압기 부속품 (배유변, 시유변, 충격압력계전기, 콘서베이타, GOST) 설명_004 출처 : (주)효성 유입배전변압기 취급설명서 1. 배유변 (Drain Valve) 배유변은 절연유를 밖으로 빼내기 위하여 변압기 탱크하부에 취부됩니다. 배유방법은 플러그를 풀어내고 핸들을 좌측으로 천천히 돌리면 절연유가 배유됩니다. 배유가 끝나고 급유를 할 때는 반드시 배유변 핸들을 우측으로 돌려서 잠그고 난 후에 실시하여야 합니다. 운전 중에는 배유를 하면 안됩니다. 만약 운전 중 배유를 시키면 유면이 저하되어 변압기는 충분히 절연이 되지 않아 절연파괴가 일어나거나 인명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부득이 하게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변압기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때 실시하여야 합니다. 배유순서는 ⓛ플러그(프러그)를 풀고 ②핸들을 좌측으로 천천히 돌려 배유합니다. 2. 시유변 (Sampling Valv.. 2023. 2. 2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