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기안전관리63

전기안전관리_002_저압 전기설비의 점검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절연저항의 측정 1) 절연저항의 의미 - 절연물로 보호된 전기기기나 배선에 µA ~mA정도의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저항값(MΩ)의 단위로 표현 - 일반적으로 저항값이 클수록 안전한 설비를 말함 2) 절연저항 측정 목적 - 감전사고 예방 - 전기화재의 예방 - 전기기기의 건전성 확인 - 전기재해의 예측 3) 절연저항계의 종류 - 아날로그식 절연저항계 : 전자회로에서 건전지 전압을 DC고전압으로 승압 - 디지털방식 절연저항계 : 아날로그식과 작동 원리 동일 - 발전기식 절연저항계 : 기기에 부착된 핸들을 돌려 전압을 발생 4) 측정전압에 따른 분류 구분 용도 25V, 50V 통신 회로 100V, 125V, 150V 통신회로, 110V 전자기기 전원회로.. 2023. 4. 3.
전기안전관리_001_점검 및 측정 출처: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 특별 교육과정 1. 전기 설비의 점검 내용 1)전기설비의 점검 목적 - 점검 : 육안 또는 장비 등을 활용하여 확인, 측정하는 등의 활동으로써 일상점검, 정기점검, 정밀점검, 공사 중 점검 등을 말함 - 목적 : 전기설비의 안전성 확보 및 사고예방 2) 전기설비의 점검활용 - 전기재해 예방 및 발생 시 응급조치 활용 - 유지 관리 및 증설계획시 고려 - 전기설비의 효과적 점검 및 관리를 위한 자료 - 과부하 및 합선 기타 사고에 의한 화재사고 예방 -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 사전 예방 - 전기설비사고에 의한 정전사고 사전 예방 3) 전기설비 점검의 분류 - 일상점검 : 설비의 외관점검, 작동점검, 기능점검 등 이상 유무를 확인 - 정기점검 : 월차, 분기, 반기 등 .. 2023. 4. 1.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 적용, 이점,구성, 설계 1.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 (Static Var Compensator : SVC) SVC는 무효전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계통의 역률 조정, 적정범위의 전압 보상, 송전선로의 송전능력 향상 등의 전반적인 전력 품질 개선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와 더불어 과도전압의 회복, 계통 전압의 안정도 향상 등 급변하는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모선 전압의 변동을 제한하는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산업분야에서 SVC는 무효전력을 효율적으로 보상하고, 역률을 개선시키며, 비선형 부하에 의한 전압 변동 및 고조파 장애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삼상 부하 평형, 전력품질 향상, 생산효율 증대 및 제품 품질 향상에 기여하며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적용 : 산업기기, 전력제어 설비, 철강, 전기 철도, .. 2023. 3. 6.
능동형 보상설비 (무효전력 보상기, 지능형 능동 필터, 하이브리드 고조파 필터, 영상분 고조파 필터) 출처 :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카달로그 1. 지능형 무효전력 보상기 (IVC) 대용량의 용접기, 크레인, 가변속 모터 장치 등의 부하는 큰 폭의 무효전력 변동을 일으켜 계통의 전압강하와 플리커를 유발함으로써 배전 계통내의 전기설비와 제어설비 등에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삼화콘덴서의 지능형 무효전력 보상기 (IVC)는 부하로 부터 발생되는 무효전력을 DSP와 전력전자소자를 이용하여 실시간 보상함으로써 전압의 안정화와 플리커 저감은 물론 용접품질의 개선에 의한 공정 불량율 감소와 역률 증대에 따른 설비 여유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적용 부하 : 용접기, 아크로, 크레인, 유도가열기, 사출기, 착암기, 대형 펀칭기 등 IVC를 설치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변압기 2차측 역률 개선.. 2023. 3.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