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7 KEC 적용 사용전 점검 기준 변경 주요 내용 1편 접지시스템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홈페이지 접지시스템의 시설 1. 접지시스템의 구성요소 용어설명 보호도체(PE) :감전 방지와 같은 안전을 위해 준비된 도체 보호등전위본딩 도체 : 등전위를 형성하기 위해 도전부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 접지도체 : 계통, 설비 또는 기기의 한 점과 접지극 사이의 도전성 경로 또는 그 경로의 일부가 되는 도체 (KEC 142.3.1 접지도체, "안전전기연결" 라벨을 접지극 모든 접지도체 연결지점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시설) 보조 보호등전위본딩 도체 : 전기설비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인체 감전을 일으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금속체와 연결한 도체 노출도전부 : 전기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을 말하며, 감전보호를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방식으로 할 때 노출도전부는 접지하여야 .. 2023. 10. 17. 전기설비 안전관리 직접인건비 산정기준 [2023년] / 전기안전관리비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인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1월 전기안전관리법과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등에 근거해 ' 엔지니어링사업 계약 체결 시 적정한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 며 2023년 전기설비 엔지니어링 표준품셈( 전기설비 규모별 사업대가 산정기준)'을 공표 하였다. 용량별 전기설비 규모별 사업대가 산정 예시 설비규모(용량) 점검횟수 사업대가(월) 저압 50 kW 매월 1회 이상 139,404원 100 kW 156,587원 200 kW 176,893원 300 kW 189,389원 400 kW 매월 2회 이상 329,265원 500 kW 345,004원 고압 100 kW 매월 1회 이상 233,303원 200 kW 257,780원 300 kW 273,356원 400 kW 매월 2회 이상 436.. 2023. 10. 10.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등에 관한 고시' 개정 ('23. 7. 6 시행, 일부 '24. 1. 1 시행예정)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 ·절차 등에 관한 고시' 개정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안전과에서는 지난 7월 6일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 ·절차 등에 관한 고시'를 일부 개정 발표하였고, 전기설비 중 피뢰설비, 전기차 충전설비 등의 검사항목을 신설하고, 전기설비 안전을 기반으로 전기설비 소유자 또는 점유자의 안전관리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규제 완하 등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되었지만, 제25조 제2항 제3호 및 별표9의 1-9는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주요내용을 살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통합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정기검사 (안 제13조, 별표9) 신규 ESS 설치 시 통합관리시스템에.. 2023. 10. 4.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 개정 시행 ('23. 6. 7 시행)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 지난 2022년 12월 6일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이 일부 개정되었고, 2023년 6월 7일 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주요 내용은 앞으로 건축물에는 광섬유케이블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기존에는 꼬임케이블(UTP케이블)과 광섬유케이블(광케이블)중에 선택하도록 했으나 앞으로는 두 가지를 모두 설치한다. 또 광케이블의 설치기준도 기존 8코어에서 12코어 이상으로 상향되었다. 1. 개정 이유 일정조건을 만족하는 오피스텔을 주거용 건축물로 분류하여 주거용 건축물이 갖추어야 하는 방송통신설비 기준을 적용하도록 그 기준을 완하하고, 건축물의 구내통신 회선 수 확보기준을 강화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품질, 대용량 정보통신 서비스 수요에 원활하게 대응.. 2023. 9. 19. 이전 1 ··· 3 4 5 6 7 8 9 ···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