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7 2024년 1월 1일 부터 적용되는 비상용 예비발전설비 용량 산정, 점검 및 검사 기준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 비상용 예비발전설비 용량의 산정, 점검 및 검사 기준 비상용 예비 발전설비는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소방부하, 비상부하 및 그 밖의 정전시 운전이 필요한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는 예비전원설비로써 「국토교통부 예비전원설비 설계기준 (KDS 31 60 20 : 2021) 」을 준용하였고, 소방전원보존형 제어장치 설치 여부와 관계없이 정전 시 필요부하 수용률을 부하특성에 따른 설계값으로 적용하도록 KESC 220.3.2 비상용 예비발전기의 용량산정을 명확히 규정하였으며, 다음을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①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에 연결되어 동시에 운전될 수 있는 모든 부하의 합계* 용량을 기준으로 선정할 것 *화재 시 부하 (소방부하) + 정전 시 부하 (필요부하) + .. 2024. 3. 20. 축전지 증상으로 알아보는 고장 원인 출처 : 한국전기기술협회 축전지 증상으로 알아보는 고장원인 1. 증상별 원인 구분 증상 고장원인 초기 고장 - 전해조, 덮개 파손 - 과도한 절연 저하 - 수송, 설치 시 충격으로 인한 파손 - 접속부 온도 상승, 변색 - 접속부 조임상태 불량 - 전체 셀 간 전압 편차 크고 비중 감소 - 사용 개시 시 보충 전 부족 - 전지 전압, 비중 저하, 전압계 역전 - 축전지 역접속 우발 고장 - 전체 셀 간 전압 편차 증가 - 비중 감소 - 부동충전 시 낮은 전압 - 균등충전 부족 - 방전 후 회복충전 부족 - 특정 셀만 심한 전압 감소 - 특정 셀만 심한 비중 감소 - 국부 단락 - 전체 셀의 비중 증가 (전압은 정상) - 전해액 부족 - 보수 시 묽은 황산 혼입 - 충전 중 비중 감소, 전압 증가 - 방전.. 2024. 3. 9. 공동주택의 전기자동차 충전설비 설계시 고려해야할 사항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 1. 전기자동차의 정의 및 구조적 특징 1) 정의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2조(정의)3호에 의하면 "전기자동차"란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충전받은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장도차를 말하고 있다.다시 말하면, 전기자동차는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으로 화석 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무공해 차량을 말하고 있다. 2) 구조적 특징① 내연기관 엔진 없이 충전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만을 동력원으로 전기모터를 구동② 회생제동 기능을 이용한 운행 중 배터리 충전으로 제동횟수가 많은 도심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③ 외부 전기공급을 통한 충전이 필요 - 급속충전기는 50kW급으로 완전 방전상.. 2024. 2. 27. 저압 차단기의 고장 원인과 열화 요인으로 알아보는 점검 포인트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협회지 1. 저압차단기 (MCCB) 고장 원인 MCCB 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 고장 현상과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다. 현상 원인 접촉저항 증가 정격전류 통전 시 온도 상승으로 인해 트립이나 과열 - 접점의 접촉 압력 저하 - 부하전류 개폐 과다 - 부식으로 인한 접점면 접촉저항 증가 - 접속부의 경년 이완 차단하중 증가 과전류가 흐르거나 트립신호가 입력되어도 트립되지 않음 - 분진 등의 퇴적 - 부품 발청으로 인한 마찰 저항 증가 트립 후 리셋 불능 MCCB 트립 후 재투입이 안됨 - 분진으로 인한 마찰 저항 증가 - 주형품 등의 절연재 경년 변화 트립 불능 심각한 문제로 인한 사고 발생시에도 MCCB가 트립되지 않음 - 분진으로 인한 마찰 저항 증가 - 부품 발청으로 인.. 2024. 2. 5. 이전 1 2 3 4 5 6 ··· 4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