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7

한전 <고압> 계량기 종류 및 보는법, 의미 1. 외형 구성 1 : 무효 펄스 LED 2 : 유효 펄스 LED 3 : LCD표시창 4 : 제품의 정격 5 : 제조번호 6 : 단자대 7 : 조작스위치 8 : 광통신포트 9 : 계량펄스 출력 10 : 시한펄스 출력 11 : 타임스위치 개폐신호 출력 12 : 모뎀통신 포트 2. LCD 화면 구성 1 : 상한표시기 2 : 표시항목번호 3 : 표시내용 4 : 전압결상 표시기 - 결상시 해당 상 점멸 5 : 계량상태 표시 - 시계방향 회전 : 순방향 6 : 선택모드 식별자 7 : 계량시간대 표시 8 : 현재기능없음 (향후 사용예정이라고 합니다) 9 : 통신 중 표시 10 : 수동 디멘드 리셋금지 11 : 시험모드 식별자 12 : EOI (End to interval) - 디멘드 수용시한 종료 표시기 13 : .. 2022. 12. 16.
전기안전관리자 선임(겸직, 공동선임) 및 면제 대상 1. 전기안전관리자 선임대상 구분 전기설비종류 선임대상전기설비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모든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선임대상은 20kW초과 발전설비) 자가용 전기설비 1. 전기수용설비 저압 75kW이상 2. 제조업 및 제조관련서비스업 또는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전기설비 저압에 해당하는 전기수용설비 용량 제한 없이 선임대상제외 3. 발전설비 저압 20kW초과 4. 자가용전기설비 설치장소와 동일한 수전장소에 설치하는 전기설비 5. 위험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kW이상 전기설비 - 총포, 도검, 화약류 등 단속법에 따른 화약류 제조 사업장 - 광산보안법에 따른 갑종탄광 - 도시가스사업법에 의한 도시가스 사업장 -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의 저장, 충전 및 판매사업장 - .. 2022. 12. 8.
KEC 적용에 따른 검사기준의 적용 ◎ 법령 및 기준의 적용 본 자료는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2021년 11월에 배포한 'KEC 적용에 따른 검사기준의 적용'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며, 상세 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 둡니다. 1) 자가용 전기설비의 사용전검사 기준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6조 제3항 법 제8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인가 또는 신고를 한 공사계획에 적합할 것 전기사업법 제67조에 따른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법 제18조에 따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고시하는 검사, 점검의 방법, 절차등에 적합할 것 2) 사업용 전기설비의 사용전검사 기준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31조 제3항 전기사업법 제61조에 따라 인가 또는 신고를 한 공사계획에 적합할 것 전기사업법 제67조에 따른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법 제18조에 따른 산업통상.. 2022. 12. 5.
KEC 주요 개정 내용 요약 1. 저압범위 확대 (KEC 111.1) 전압구분 과거 기술기준 KEC 저압 교류 : 600V 이하 직류 : 750V 이하 교류 : 1,000V 이하 직류 : 1,500V 이하 고압 교류 및 직류 : 저압을 초과 하고 7,000V 이하 (현행과 같음) 특고압 7,000V 를 초과 (현행과 같음) 2. 전선식별법 국제표준화 (KEC 121.2) 전선구분 과거 기술기준 KEC 상선(L1) - 갈색 상선(L2) - 흑색 상선(L3) - 회색 중성선(N) - 청색 접지/보호도체(PE) 녹색 또는 녹황교차 녹황교차 3. 개소별 시설조건을 고려한 배선 선정 (KEC 232.5) 1) 차단기 정격전류에 따라 일괄적으로 적용한 배선선정방식 폐짐 (21 시행) - 현행 두 가지 선정방식 중 "차단기정격기반 선정방식"만 .. 2022.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