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7

전기안전관리_025_비상 발전 설비의 점검 - 주변기기 점검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유체 저장소 점검 1) 연료 계통 점검 연료의 외부 주입을 고려하여 Day Tank 위치를 선정하고 방유턱을 설치한다. 발전기 연료 탱크의 용량은 통상 발전기 용량 200kW 이하는 발전기 세트에 연료 탱크 일체형으로 제작한다. 발전기 연료 탱크에는 통기관과 연료 주입구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연료 탱크 누수에 대비한 방재 시설을 한다. 연료, 배기, 윤활유 배관의 처짐과 연결부의 누출을 유발하는 부품은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견고하게 받침대에 설치한다. 2) 연료 계통의 검사 및 시험 연료탱크는 정격출력으로 2시간 이상 운전할 수 있는 용량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연료를 보급할 수 있는 형식인지 확인한다. 특히, 의료설비의 비상전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2023. 5. 10.
전기안전관리_024_비상 발전 설비의 점검 - 발전기 점검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발전기 절연저항 측정 1) 권선 저항 측정 우선적으로 발전기 프레임 하단부 커버를 개방하여 발전기 내부를 육안 검사하였을 때 이상 없음 (코일 소손, 파손, 열화 등) 으로 판단되면 아래의 내용으로 기본적인 검사를 실시한다. 베어링 등의 부품들은 특별히 지정된 수명(교환 주기)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상 진동, 이상 소음 등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육안 점검을 통하여 교환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 주의 사항으로는 권선의 저항 및 절연 시험 전에 부하선과 발전기 권선에 연결된 모든 조작선을 발전기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권선 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주 전기자(U, V, W) 각 상의 저항을 측정하고 여자기 계자 (J, K) 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주.. 2023. 5. 9.
전기안전관리_023_비상 발전 설비의 점검 - 원동기 점검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엔진 점검 (1) 정기 점검 항목에 따라 점검한다. 최고의 엔진 성은을 유지하고 고장이 없게 하기 위해서는 정기점검과 정비가 필수적이다. - 아래의 고장 원인에 대한 예방과 검사 사항들은 매일 점검되어야 한다. - 다음 점검 사항들은 정기적으로 철저히 수행되어야 한다. 고장 원인 및 대책 1 현상 원인 대책 엔진 과열 냉각수 부족 냉각수 보충 라디에이터 캡 스프링 이완 캡 교환 휀 벨트 이완 또는 끊김 휀 벨트 조정 및 교환 휀 벨트에 오일 오염 휀 벨트 교환 수온 조절기 작동 불량 수온 조절기 교환 냉각수 펌프 작동 불량 수리 또는 교환 냉각수 통로 오염으로 인한 저항 발생 라디에이터와 냉각수 통로 청소 분사시기의 부적합 분사시기 조정 라디에이터.. 2023. 5. 8.
전기안전관리_022_비상 발전 설비의 점검 - 충전설비, ATS, CTTS 출처 : 한국 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충전 설비 점검 비상발전기의 정상 동작을 위하여 축전지와 충전기의 정격을 확인하고 운전 메뉴얼에 따라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1) 충전기와 축전시 사이의 전선과 연결 부위의 느슨함 여부를 확인한다. 축전지 및 충전기의 접속부 단자 조임 상태를 확인한다. (2) 충전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충전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충전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3) 축전지의 상태를 확인한다. 축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증발하게 되면 충전 지시계의 색이 변하게 되므로 충전 지시계의 색을 확인하여 축전지의 상태를 확인한다. 2. 각종 타이머 점검 다음 표(예시)와 같은 각종 타이머의 설정 시간을 확인하고 정상 동작 유무를 확인한다. 발전기 디.. 2023.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