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7 전기안전관리_002_저압 전기설비의 점검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교육 특별과정 1. 절연저항의 측정 1) 절연저항의 의미 - 절연물로 보호된 전기기기나 배선에 µA ~mA정도의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저항값(MΩ)의 단위로 표현 - 일반적으로 저항값이 클수록 안전한 설비를 말함 2) 절연저항 측정 목적 - 감전사고 예방 - 전기화재의 예방 - 전기기기의 건전성 확인 - 전기재해의 예측 3) 절연저항계의 종류 - 아날로그식 절연저항계 : 전자회로에서 건전지 전압을 DC고전압으로 승압 - 디지털방식 절연저항계 : 아날로그식과 작동 원리 동일 - 발전기식 절연저항계 : 기기에 부착된 핸들을 돌려 전압을 발생 4) 측정전압에 따른 분류 구분 용도 25V, 50V 통신 회로 100V, 125V, 150V 통신회로, 110V 전자기기 전원회로.. 2023. 4. 3. 전기안전관리_001_점검 및 측정 출처: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 특별 교육과정 1. 전기 설비의 점검 내용 1)전기설비의 점검 목적 - 점검 : 육안 또는 장비 등을 활용하여 확인, 측정하는 등의 활동으로써 일상점검, 정기점검, 정밀점검, 공사 중 점검 등을 말함 - 목적 : 전기설비의 안전성 확보 및 사고예방 2) 전기설비의 점검활용 - 전기재해 예방 및 발생 시 응급조치 활용 - 유지 관리 및 증설계획시 고려 - 전기설비의 효과적 점검 및 관리를 위한 자료 - 과부하 및 합선 기타 사고에 의한 화재사고 예방 -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 사전 예방 - 전기설비사고에 의한 정전사고 사전 예방 3) 전기설비 점검의 분류 - 일상점검 : 설비의 외관점검, 작동점검, 기능점검 등 이상 유무를 확인 - 정기점검 : 월차, 분기, 반기 등 .. 2023. 4. 1. 013_전력구입계약(PPA)_태양광발전 유지관리 및 용어설명 1.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1) 점검사유 자가용 전기설비로 취급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전기사업법에 따라서 정기적으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2) 점검방법 ① 일상점검 : 주로 육안점검에 의해서 매월 1회 정도 시행합니다. 구분 점검항목 점검요령 태양전지 어레이 1) 유리 등 표면의 오염 및 파손 심한 오염 및 파손이 없을 것 2) 가대의 부식 및 녹 발생 부식 및 녹이 없을 것 3) 외부배선(접속케이블)의 손상 접속케이블에 손상이 없을 것 중계 단자함 1) 외함의 부식 및 손상 부식 및 파손이 없을 것 2) 외부배선(접속케이블)의 손상 접속케이블에 손상이 없을 것 파워 컨디셔너 1) 외함의 부식 및 파손 외함의 부식, 녹이 없고 충전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을 것 2) 외부배선(접속케이블)의 손상 파워컨디셔.. 2023. 3. 27. 012_전력구입계약(PPA)_태양광발전 RPS제도 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란?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촉진을 위하여 설비용량 500MW 이상의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 중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의무공급 발전사는 직접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건설하여 자체 조달하거나 전력거래소 현물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구입 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와 직접계약을 통해야 의무공급량을 이행합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는 의무공급 발전사와 공급인증서를 거래하고 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 태양광 발전사의 REC 발급절차 1) 에너지 공단의 RPS설비 확인.. 2023. 3. 24.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0 다음 반응형